근태관리
근태를 사용하기 위해 필요한 내용을 설정합니다.
Last updated
근태를 사용하기 위해 필요한 내용을 설정합니다.
Last updated
근무그룹등록 : 근태관리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근무그룹 추가 후 사원 별 근무그룹을 설정 해야합니다.
근무그룹명 : 등록한 근무그룹의 명을 표시합니다.
근무방식 : 등록한 근무그룹의 근무방식을 표시합니다.
근무시간 : 등록한 근무그룹의 근무시간을 표시하며 근무시간을 요일별로 설정한 경우 클릭 시에 수정화면으로 이동하여 확인 가능합니다.
근무사원 : 해당하는 근무그룹에 속해있는 사원 수를 표시하며 추가된 직원이 없을 때 직원추가로 표시가 됩니다. 직원 추가 또는 인원수를 클릭 시에 근무그룹에 사원을 추가 할 수 있습니다.
근무스케줄 : 달력을 클릭 하면 근무스케줄 팝업이 표시되며 근무스케줄의 달력은 휴일설정메뉴의 달력으로 표시됩니다. 근무그룹의 근무시간이 표시되며 공휴일은 근무시간이 표시되지 않습니다.
사용여부 : 근무그룹을 사용여부를 표시합니다. 추가된 사원이 없는 경우에만 off로 변경이 가능합니다.
등록 : 근무그룹 추가 페이지로 이동합니다.
삭제 : 체크한 근무그룹을 삭제합니다. 사용여부가 off인 근무그룹만 삭제 가능합니다.
근무그룹추가 : 사용할 근무그룹을 등록합니다.
근무그룹명 : 근무그룹명을 입력합니다.
근무방식 : 근무그룹의 근무방식으로 일반근무, 탄력근무, 시간선택, 단축근무, 기타로 설정이 가능합니다. 기타인 경우 직접 근무방식명을 입력할 수 있습니다.
근무일지정 : 근무그룹의 근무일을 지정하며 월~금,월~토, 직접선택을 할 수 있습니다. 직접 선택인 경우 월~일을 클릭하여 파란색으로 변경하여 설정이 가능합니다.
휴일성격(유급/무급) : 근무일지정한 요일 이외에 휴일을 유급 또는 무급으로 설정이 가능합니다. 유급휴일을 클릭하여 설정하면 무급휴일은 자동으로 설정이 됩니다.
근무시간설정 : 일괄설정 또는 요일별설정이 가능합니다. 일괄설정은 근무일에 대한 근무시간, 휴게시간, 조기,연장, 야간근무시간을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. 요일별설정은 근무일의 요일별로 근무시간, 휴게시간, 조기, 연장, 야간근무시간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. 휴일근무시간은 모든 휴일에 대해 공통적으로 근무시간을 설정합니다.
근무이동 : 근무그룹을 설정한 사원들을 특정일을 기준으로 근무그룹을 변경합니다.
정렬 : 사원리스트를 사원번호, 성명, 부서, 직급, 직책, 근무그룹 순서대로 정렬할 수 있습니다.
사원리스트 : 현재 근무그룹에 속해 있는 사원리스트를 표시합니다. (사원의 근무그룹은 오늘의 날짜를 기준으로 속해있는 사원리스트를 표시합니다.)
근무이동 : 특정일자를 기준으로 사원의 근무그룹을 변경하는 기능입니다. (근무이동/엑셀일괄이동 2가지 방법이 있습니다.)
근태정책 : 근태관리를 사용하기 전 설정합니다.
출퇴근 인정시간단위(지각/조퇴) : 출퇴근시간을 인정하는 시간 단위로 출근시간 전후로 해당하는 시간만큼 출퇴근으로 인정해주는 시간입니다.
ex) 인정시간이 10분이면서 출근시간이 9시인 경우 9시10분 출근 시 지각이며 9시09분 출근 시 출근으로 인정
연장근무인정 시간단위 : 연장근무를 인정하는 시간단위로 최소 근무시간
ex) 인정시간이 30분인 경우 29분 연장근무 시간 0분, 근무 45분 근무 시 30분 연장근무로 인정
연장근무 업무구분 : 연장근무의 구분으로 연장근무, 야간근무, 휴일근무를 사용 가능
유급휴일 근무일수 포함여부 : 근무일수 계산 시에 유급휴일을 근무일수에 포함할 것인지 선택
휴일등록 : 법정 공휴일 이외에 회사의 임시공휴일을 등록하는 메뉴로 근무일에서 제외 됩니다. 달력에 공휴일이 있는 일을 제외한 일자를 클릭 시 휴일등록 팝업이 표시됩니다.
- 휴일일자 : 클릭한 일자의 연월일이 표시가 됩니다. - 휴일구분 : 법정/임시/대체/기타 4가지의 구분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. - 휴일명 : 등록하는 휴일명을 입력합니다. - 반복등록 : 반복없음, 매주, 매월을 선택하여 일괄등록이 가능합니다.
휴일수정 : 등록한 휴일이 있는 일자 클릭 시에 표시되는 팝업으로 수정 또는 삭제가 가능합니다.
- 항목은 휴일등록 팝업과 동일합니다.
휴가부여기준 : 입사일자와 회계연도 기준으로 설정 가능합니다. (회계연도기준인 경우 회계연도시작월을 수정할 수 있습니다.)
1년 미만자 자동부여 : 1년 미만자인 경우 1개월에 1일의 휴가를 부여합니다.
(회계연도 시작일 정산일수 반영은 회계연도 시작일에 15 x 이전 회계연도의 근무일수 /365(366) 의 휴가를 부여하는 기능입니다.)
잔여일수 이월여부 : 잔여일수를 이월여부 (양수 또는 음수를 선택하여 이월 가능)
ex) 양수,음수 사용으로한 경우 2021년 잔여휴가가 1개 있는 사원A와 -2개 있는 사원B는 2022년 휴가 계산 시 총15개를 부여 받아 사원A는 16개 ,사원B는 13개 부여 할 수 있는 기능입니다. - 이월연차조회기준일(년) : 이월연차를 표시하는 기준으로 회계연도인 경우 해당하는 연도부터 전년도의 잔여일수를 이월연차로 표시하며 입사일자기준인 경우 해당일자 이후의 입사한 월일부터 이월연차를 표시합니다.
휴가유형 사용여부 : 연차, 반차, 반반차, 출산, 대체, 기타 휴가를 제공하고 있으며 ON을 할 경우 휴가신청 시 표시가 됩니다.
근속연수별 자동부여 : 다음 페이지 참고 부탁 드립니다.
입사일자 기준인 경우 1개월 만근 시 1개 부여 (회계연도인 경우 1년 미만자인 경우 옵션선택을 통해 1개월 만근 시 1개 + 회계연도 시작일에 15 X 직전 회계연도 재직일 / 365에 해당하는 연차를 부여합니다.)
1년 이상 근속한 직원인 경우 +1년 ~ 사용자가 설정한 값을 부여 합니다.
(기본값은 15개 부여에 2년 마다 1개씩 추가됩니다.)
우측의 홍길동 예시로 입사일자가 2022-05-26인 사원을 기준으로 휴가가 부여되는 일자를 표시하였습니다. (회계연도인 경우에도 회계연도 시작일이 존재하는 방식으로 적용이 됩니다. )
휴가일수 부여 : 휴가부여기준에서 설정한 내역을 표시 (입사일자 기준)
휴가기준일자 : 오늘을 기준으로 해당하는 일자가 속한 적용기간이 표시됩니다.
발생연차 : 휴가기준설정에서 설정한 값에 따라 연차별로 발생연차가 표시 됩니다.
이월연차 : 조회되고 있는 적용기간 이전 적용기간의 잔여일수가 옵션값에 따라 이월연차에 표시 됩니다.
가산/차감일수 : 발생연차, 이월연차 이외에 관리자가 임의로 가산/차감하는 연차를 의미합니다.
총연차 : 발생연차 + 이월연차 + 가산/차감일수를 더한 값을 표시합니다.